조명가게와 협업하는 전시는 ‘빛’을 주제로 합니다. 빛은 다른 것을 드러내는 동시에 상황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는 가변적인 성질을 가집니다. 빛의 가능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는 작품들을 만나보세요.
참여 작가
- 강수빈, 박혜인, 염기남, 정인지
협력업체
- 을지로 신아조명
인쇄소는 미술계를 두루 연결하는 장소로, 작품 인쇄와 도록 제작 등의 다양한 과정이 이곳을 거쳐 이루어집니다. 예술가와 작품, 그리고 관객을 서로 연결하는 인쇄소로 초대합니다.
참여작가
- 김성진, 김피리, 김한비, 오세라, 서지희, 순이지, 한낮, 홍이카
협력업체
- 애드플러스, 을지로인쇄소(코어플레이스)
-
없는 장소 (An Absent Place)
-
Deserve it
-
I got the key
-
유감입니다
-
네니요
-
그렇더라
-
변신중 - Resume
-
변신중 - Gold Night
-
변신중
-
몸을 누인 사람
-
을지메타팟 : My tiny garden series 04
-
을지메타팟 : My tiny garden series 03
-
을지메타팟 : My tiny garden series 02
-
을지메타팟 : My tiny garden series 01
-
미래 식물 표본: 뿌리 중심형 식물
-
미래 식물 표본: 유연형 열매 식물
-
미래 식물 표본: 방추형 열매 식물
-
미래 식물 표본: 타원형 열매 식물
-
월요일 여름
-
해가 기름때처럼 피부에 감긴채로 집에 가는 시간
-
무방비하고 부주의해지는 여름
-
Afterimage
-
Afterimage
-
Afterimage
-
Afterimage
-
낮의 눈보라
-
선라이즈
-
비가 그친 날에 보라 하늘
금속을 녹여 원하는 형태를 주조하는 과정에는 흙과 모래의 역할이 중심이 됩니다. 주물공장에서 바라본 응고의 순간은 도시와 건축의 토대를 다시 떠올리게 만들며, 재료와 구조, 장소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해 보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참여작가
- 서지우, 서해영, 조은시, 이호수, 최윤지
협력업체
- 영광주물
음향가게에 들어서면 다양한 음향기기가 공간을 소리로 채웁니다. 전시는 소리 오브제를 매개로 한 사운드 아트를 선보이며, 소리를 물질화하여 음반으로 제작하는 실험까지 작가들의 다채로운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참여작가
- 구축, 구축(Faiiiry), 거니림, 바우어, 서민우, 이송하, 이현태, 윤태균, 전기수, 최정윤, Einox
협력업체
- 호성음향
작품 제작에 필수적인 공구들. 공구가게와 함께 구성한 전시에서는 손안에 들어오는 작은 작업부터 조각, 회화까지 다양한 이미지가 한자리에 모입니다. ‘도구’를 통해 작품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고, 단순한 수단을 넘어 창작과 표현 방식을 형성하는 주요 매체로서 도구를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참여 작가
- 강서현, 권순한, 오제성, 이승희, 정성진, 조성국, 양
협력업체
- 한결 종합공구
-
Palms
-
Neoneo
-
Doggy
-
Bridge System
-
Mora is Everywhere
-
불타는 산과 쓰러진 켄타우로스
-
혼돈의 도시
-
세 갈래의 불꽃
-
마녀는 사냥당하지 않는다
-
바보들의 배
-
부서져도 싸울래
-
두 머리 용과 용감한 소방관
-
The fast fire stone
-
Stone mover
-
금강역사
-
파란해골
-
돌보트킹
-
God - Dog 3(개도사 3)
-
God - Dog 1(개도사 1)
-
Guess, Who I Saw Today
-
Midnight Train (P.S I Love You)
-
매개자
-
반합두상 lll
-
반합삼두상 l
-
반합두상 ll
-
Pathos(green)
-
Pathos(blue)
-
Logos(yellow)
-
Logos(pink)
-
Ethos(red)
-
Ethos(black)
-
Ethos(blue)
시계수리소는 우리의 과거와 현재를 되돌아보게 하는 공간입니다. 전시는 ‘시간’을 주제로, 순간과 지속, 기억과 변화가 어떤 형태로 남게 되는지를 탐구합니다. 시계의 정교한 톱니처럼, 작품 속 시간도 서로 맞물리며 공간 안에서 흐름을 만들어냅니다.
참여작가
- 김성식, 김지용, 안지겸, 임하은, 임유진
협력업체
- 시공간
덕트는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 건물 내부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지만 모든 것을 순환하고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이곳 ‘을지덕트’에서는 ‘순환’의 개념을 바탕으로, 공간과 사물, 소리가 서로 공명하며 흐르는 방식을 탐구합니다.
참여 작가
- 이인강, 이수빈, 이현우, 이희단, 임동현, 오주영
협력업체
- 화성공조닥트
물건을 담는 것으로서의 상자. 포장자재상에서는 상자를 구성하는 ‘종이’를 주제로 삼습니다. 여기서 종이는 사물을 감싸고 이동시키는 매질이자, 작품이 놓이는 환경과 관계를 맺는 조건이 됩니다. 종이가 가진 물성과 가능성을 다각도로 살펴봅니다.
참여 작가
- 김대운, 김미수, 박소현, 안민환, 이은지, 임지민, 정다정, 허수연
협력업체
- 신성포장박스
투명하면서도 발랄한 색을 지닌 아크릴은 친근한 감각을 불러일으킵니다. ‘아크릴샵’에서는 그 투명성과 선명한 색감을 활용해 일상의 사물에 새로운 표정을 부여합니다.
참여 작가
- gxu, 김서울, 박나다, 서연진, 이은, 최규연, 최정윤
협력업체
- 현대 아크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마주하는 타일은 친숙하지만, 미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료는 아닙니다. 이곳에서는 타일을 매체로 활용하는 작업과 더불어 타일가게의 독특한 진열 방식을 차용해 다양한 평면 작업을 선보입니다. 진열대에서 직접 작업을 선택해 감상해 보는 방식을 경험해보세요.
참여작가
- 구민지, 김혜리, 박지원, 손규원, 서지인, 윤준호, 이수지, 전영실, 장가노, 장종훈, 홍태호
협력업체
- 동경세라믹
-
scar-뭉툭한 빛
-
scar-오목한 빛
-
Flash Chink
-
Flash flesh
-
Flash Flash Flash
-
scar
-
Shape of flash
-
Flash flesh
-
Flying land
-
물방울 맺힌 밥로스 풍경 02
-
반짝이는 이야기 02
-
eleven
-
무의식 속의 배회 2
-
무의식 속의 배회 1
-
무위도식
-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
걷기 - 요양원 일기
-
서 있기 - 요양원 일기
-
뭐지?
-
삼승할망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58 동십자각-아침 안개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58 동십자각-햇볕
-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 1-58 동십자각-흐리고 비
-
고행의 길
-
기다림의 길
-
눈물의 길
원단가게와 협업하는 전시는 천과 섬유가 지닌 재료적 물성을 탐구하는 실험들로 이루어집니다. 천과 섬유가 가지는 유동적인 성질은 형태를 만드는 방식을 달리하며, 포근하면서도 섬세한 감각을 일깨웁니다.
참여 작가
- 강종모, 박성아, 이지구, 황규민, 황재원
협력업체
- 한양커텐
참여 작가
- (업데이트 중)